압력 센서는 기체나 액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기체, 액체 압력의 변화를 감압 소자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압력에 맞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내보내거나 일정한 압력 값으로 작동하는 스위칭 출력을 내보냅니다.
기체용 전자식 압력 센서의 구조
확산형 반도체 트랜스듀서¹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출력 회로에서 신호를 처리합니다.
기체·액체용 전자식 압력 센서의 구조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에서 압력을 받아 그 왜곡을 이면에 접착된 접착형 반도체 트랜스듀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출력 회로에서 신호를 처리합니다.
전자식 / 기계식 압력 센서의 차이점
기존 사용되던 기계식 압력 센서는 신뢰성이 낮고 수명이 짧은 관계로, 현재는 전자식 압력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자식(확산형, 접착형) | 기계식(동관, 송풍기) | |
작동 원리 |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 스위칭 출력(무접점 신호) |
압력을 변위로 변환 변위에서 기계식 스위치를 ON/OFF시켜 스위칭 출력 |
장점 | 고정밀도/빠른 응답성 기계 가동 부분이 없어 수명이 길고 높은 신뢰성 |
저렴한 단가 전원이 필요 없음 |
단점 | 기계식 대비 고가 | 짧은 수명/나쁜 응답성 |
압력 센서의 분류 방법
1. 적용 유체에 따른 분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유체에는 공기, 물, 기름 등 다양한데, 유체에 따라 사용 가능한 트랜스듀서가 다릅니다.
지정된 유체 외의 유체를 사용할 경우, 트랜스듀서가 부식, 손상될 우려가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2. 압력의 종류 형상에 따른 분류
측정할 압력이 어떤 압력을 기준으로 하는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게이지 압력, 차압)
- 게이지 압력 : 대기압을 0 기준으로 한 압력
- 차압 : 임의의 압력을 기준으로 측정
3. 압력 포트 형상에 따른 분류
배관 방법에 따라 압력 포트의 형상이 다르므로, 형상-사이즈가 다른 경우 호환 가능한 부속품으로 교환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파나소닉디바이스세일즈코리아
¹트랜스듀서 : 일정 물리량을 다른 물리량으로 변환하는 장치
²비 부식성 기체 : 공기 중 포함된 물질(질소, 이산화탄소 등)과 비활성 가스(아르곤, 네온 등)를 일컬음
댓글 영역